상품 검색
최근 본 상품
장바구니
 맨 위로처음으로맨 아래로
현재 위치
  1. 게시판
  2. 홍어박사되기

홍어박사되기

홍어박사되기입니다.

게시판 상세
제목 황해 홍어(Okamejei kenojei)의 식성
작성자 김영창 (ip:)
  • 평점 0점  
  • 작성일 2017-09-23 09:01:21
  • 추천 추천하기
  • 조회수 333

발표 논문지 : 2000년 수진연구보고  58호 11페이지
저자 : 서해수산연구소    홍승현・연인자・임양재・황학진・고태승・박영철
출처 : 국립수산과학원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de)

황해 홍어(Okamejei kenojei)의 식성
              홍승현・연인자・임양재・황학진・고태승・박영철

Feeding Habits of Od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Sung Hyun HONG, In Ja YEON, Yang Jae IM, Hak Jin HWANG, Tae Seung KO and Yeung Chul PARK

The feeding habits of skate ray, Okamejei were studied by the stomach content data of 1,447 specimens caught by the bottom trawl in the Yellow Sea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8. This fish is a carnivore which mainly consumed shrimps, fishes, cephalopods and crabs. The most important prey group was shrimps as 26.3 of the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followed by fish. Crangon affinis, Metapenaeopsis dalei and Leptochela gracilis were major prey organisms. C. affinis, M. dalei and L. gracilis were dominant in spring and summer, C. affinis in winter. The feeding activity of O. kenojei was intensive in autumn through spring, and increased steadily with growth of the fish, while large shrimp and fishes such as C. affinis, T. cuvirostris and A. personatus increased progressively.

서론

홍어(Okamejei kenojei)는 홍어목(Rajiformes) 홍어과 (Rajidae) 홍어속(Okamejei)에 속하며, 황해, 동해, 일본 북해도 이남 및 남중국해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어류는 일정한 먹이습성을 가지며, 같은 종류일지라도 환경 먹이생물에 대해 기호성을 갖는다(Paloheimo, 1979). 어떤 생물의 먹이에 관한 연구는 그 생물 자체의 먹이습성뿐만 아니라 서식해역 내의 먹이망에 의한 물질 순환 및 군집생태를 간접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영양단계별 에너지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포식자와 먹이사이의 섭식관계가 구명되어야 하며, 이는 포식자의 위 내용물 분석에 의하여 밝혀질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황해 및 동중국해에 서식하는 수산자원의 식성에 관한 연구로는 황아귀(Cha et al., 1997), 말쥐치(Park, 1985), 쥐노래미(Kim and Kang, 1997) 등 다수가 보고되었으나, 홍어류에 관한 연구는 눈가오리(Yeon et al., 1999)만이 보고되었을 뿐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해 저서생태계에서 상위포식자로서 위치하고 있으며 주요 수산자원인 홍어의 섭식생태에 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본 종의 섭식생태에 관한 구명은 생태학적으로 중요하며 다른 저서생물의 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도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홍어의 성장, 성숙, 계절 및 생활환경 등에 영향을 받는 섭식생물의 종류, 종류별 섭식량, 종 조성 및 다양도와 섭식활동 등을 위 내용물 조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홍어의 섭식생태 분석을 위해 사용된 시료는 1997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2년간 황해에서(Fig. 1) 쌍끌이 대형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되어 인천항에 양육된 어체이다. 표본은 체급별로 월 1회 추출하였으며, 총 1,447마리이었다. 표본의 구성은 체반폭 12.8~37.4㎝, 평균 26.3㎝, mode 25~29㎝ 급이었다(Table 1).

Fig. 1. Sampling area of Okamejei kenojei.

Table 1. The number and disc width of Okamejei kenojei collected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시료는 즉시 실험실로 운반하여 어체 정밀측정을 실시하였다. 체반폭은 좌우 가장자리 돌출부 사이의 거리를 0.1㎝ 까지, 위는 개복 절취하여 전체 위 중량 및 빈 위 중량을 0.1g까지 측정하였으며, 순위내용물중량은 전위중량에서 빈 위 중량을 제하여 계산하였다. 위 내용물의 동정은 측정직후 어류의 경우 Chyung(1977), 새우류 및 게류 등 갑각류의 경우 Kim (1973, 1977)과 Miyake (1982, 1983), 두족류의 경우 제 등(1990)에 따라 종 수준까지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나, 섭식 후 상당 기간이 경과하여 종의 동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가능한 단계까지 실시하였다.

홍어의 식성은 월별, 체급별, 숙도지수별 섭식활동과 먹이생물의 다양성 및 중요성 변화를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먹이생물의 종류별 개체 수에 의한 먹이생물의 조성과 각 먹이생물이 출현한 홍어 개체 수에 의한 먹이생물의 조성과 각 먹이생물이 출현한 개체 수에 의한 먹이생물 출현율을 분석하였다. 홍어의 섭식활동 변화는 개체당 평균위내용물 중량, 위만복도(Kim and Kang, 1991) 및 섭식참여율(Yeon et al., 1999)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위 내용물의 조사에서 먹이생물의 소화 정도에 따라 무게의 변화가 심하여 종별 중량을 측정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먹이생물의 다양성 및 중요성의 변화는 종별 상대중요성지수(IRI ; Jenkins, 1987), 종다양도지수(Shnnon and Weaver, 1963), 우점도지수(Simpson, 1949), 균등도지수(Pielou, 1976), 종풍도지수(Margalef, 1958)를 위 내용물의 종별 개체 수에 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먹이생물 조성

1997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2년 간 실험한 홍어 1,447마리 중 빈 위를 가진 개체는 351마리이었으며, 섭식율은 75.7%이었다. 홍어 위에서 관찰된 먹이생물의 분류군별 종수는 어류 7과 12종, 새우류 6과 8종, 게 및 집게류 2과 2종, 두족류 2과 2종으로 총 17과 24종으로 다양한 생물을 섭식하는 육식성(carnivore) 어류임을 알 수 있었다(Table 2). 개체 수에 의한 먹이생물의 분류군별 혼식율은 새우류 89.1%, 어류 10.0%, 두족류 0.6%, 게 및 집게류가 0.3%로서(Fig. 2),

Table 2. Percent of the total number(N) of food organisms, frequency of occurrence (F) in the stomach, and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Fig. 2. Percentage composition of food items in the stomach contents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홍어의 주 먹이생물군은 새우류인 것으로 판단된다. 먹이생물의 종별 출현율은 자주새우(Crangon affinis) 48.8%, 산모양깔깔새우(Metapenaeopsis dalei) 22.5%, 꽃새우(Trachypenaeus curvirostris) 15.7%,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12.0%, 돗대기새우(Leptochela gracilis) 9.2%이었으나, 개체수조성비는 자주새우 37.2%, 산모양깔깔새우 24.0%, 돗대기새우 18.3%, 꽃새우 7.4%, 까나리 4.5%이었다. 홍어는 자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꽃새우, 까나리, 돗대기새우를 빈번히 섭식하나, 양적으로는 자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돗대기새우, 꽃새우, 까나리 순으로 많이 섭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먹이생물의 중요도의 척도가 되는 종류별 상대중요성지수는 자주새우 18.0, 산모양깔깔새우 5.4, 돗대기새우 1.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이들이 홍어의 주요 먹이 생물인 것으로 추정된다.

2. 계절에 따른 섭식생태 변화

계절에 따른 홍어의 섭식율은 2월을 제외하면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85.8~95.8%로 나타났다. 개체당 위 내용물 중량은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4.9~6.1g, 위만복도는 1월을 제외하면 10월 이후 이듬해 7월까지 1.0~1.7의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증감의 변화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홍어의 섭식활동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10월~이듬해 4월)사이에 활발한 것으로 추정된다(Fig. 3).

Fig. 3. Monthly variation of feeding incidence, stomach fullness and the weight of stomach contents for an individual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먹이생물의 다양성을 분석할 수 있는 종다양도지수, 종풍도지수와 균등도는 2월, 4~6월, 10월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종우점도지수는 동 기간에 낮게 나타나, 홍어는 봄과 가을에 다양한 먹이생물을 비교적 균등하게 섭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Fig. 4).

Fig. 4. Monthly variation of species diversity,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index of food items in the stomach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먹이생물의 분류군별 조성비 변화는 어류의 경우 2월 이후 감소되어 8월에 1.9%로 최저에 이르렀으며, 9월 이후 증가되어 10월에는 17.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 후 감소되어 11월에는 4.4%에 이르렀으며, 그 후 다시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두족류의 경우 4~5월과 10월에 각각 0.5~2.5%, 3.0%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새우류의 경우 7~8월과 11월에 95.4~97.6%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어, 홍어는 겨울에서 이른 봄(12~이듬해 5월) 사이와 가을(9~10월)에 어류, 두족류를, 여름(7~8월)과 초겨울(11월)에 새우류를 상대적으로 많이 섭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 5).

Fig. 5. Monthly percentage composition of food items in the stomach contents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먹이생물의 종별 상대중요성지수가 수위를 차지하는 종은 12월과 1월 자주새우, 까나리, 돗대기새우, 2월 자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돛대기새우, 3월 산모양깔깔새우, 자주새우, 4월 자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5월 꽃새우, 산모양깔깔새우, 자주새우, 6월 산모양깔깔새우, 자주새우, 돗대기새우, 7월 자주새우, 돗대기새우, 8월 산모양깔깔새우, 돗대기새우, 자주새우, 9월 꽃새우, 돗대기새우, 10월 자주새우, 꽃새우 및 11월 자주새우로 나타났다(Table 3). 계절에 다른 주요 먹이생물은 겨울에 자주새우, 까나리 돗대기새우, 봄・여름에 산모양깔깔새우, 자주새우, 돗대기새우, 가을에 자주새우, 꽃새우로 나타났다. 이로 보아 홍어는 계절에 따라 섭식활동 및 주요 먹이생물을 달리하는 계절적 섭식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Table 3. Monthly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of food organisms in the stomach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3. 성장에 따른 섭식생태 변화

홍어의 체급에 따른 개체당 평균 위중량은 증가경향에 있었으며, 섭식율은 10㎝의 40.0%에서 15㎝의 77.8%까지 증가한 후 일정수준을 유지하고 있었고, 위만복도는 15㎝에 1.7에서 감소하여 25㎝에서 0.9로 최저의 값을 나타내었다(Fig. 6). 따라서, 홍어는 성장하면서 절대적 섭식량은 증가하나 체중에 비례한 섭식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Fig. 6. Variation of feeding incidence, stomach fullness and the weight of stomach contents for an individual by disc width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먹이생물의 분류군별 혼식율을 보면, 홍어가 성장하며서 새우류의 혼식율은 감소하는 반면, 어류 및 두족류의 혼식율은 증가하여, 30㎝급에서는 어류 12.4%, 두족류 1.0%의 혼식을 나타내고 있었고(Fig. 7), 주요 먹이생물은 10㎝급의 경우 돗대기새우, 산모양깔깔새우, 20㎝급의 경우 돛대기새우, 자주새우, 30㎝ 급의 경우 자주새우, 꽃새우, 까나리로 분석되었다. 먹이생물의 종별 상대중요성 지수의 경우 돗대기새우, 산모양 깔깔새우는 감소경향인 반면 자주새우와 까나리는 증가경향에 있었다(Table 4). 홍어는 체반폭의 증가에 따라 먹이생물의 종풍도지수도 비례하여 증가하며, 종다양도지수는 체반폭 10㎝ 급에서 0.50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15㎝ 이상의 체급에서는 1.36~1.73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어 구분되었다. 반면 균등도지수 및 우점도지수는 체반폭의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Fig. 8).

Table 4.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of food organisms in the stomach by disc width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Fig. 7. Percentage composition of food items in the stomach contents by disc width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Fig. 8. Variation of species diversity,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index of food items in the stomach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이를 종합 분석하면 홍어의 식성은 어린 시절에는 돗대기새우, 산모양깔깔새우 등 개체 크기가 작은 새우류에 국한되었으나 성장함에 따라 자주새우, 꽃새우, 까나리 등 개체 크기가 큰 새우류 및 어류로의 먹이전환현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4. 성숙에 따른 섭식생태 변화

홍어의 숙도지수 변화에 따른 섭식율은 숙도지수 13~15의 개체들에서 50%로 최저값을 보였으며 숙도지수 20이상에서는 100%로 최대값을 나타내며 숙도지수에 따른 변동이 크게 나타나며 숙도지수의 증가에 따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위 내용물 중량은 숙도지수 0~1의 개체들에서 평균 4.3g을 나타내어 최저 값을 보이고 숙도지수 17~19의 개체들에서 9.0g으로 최대값을 보이며 변동하였다. 숙도지수의 증가에 따른 위만복도의 변화도 0.7~1.4 사이의 변동을 보이며 숙도지수와 위만복도 또한 특이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다(Fig. 9). 따라서 홍어의 섭식활동은 성숙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Fig. 9. Variation of feeding incidence, stomach fullness and the weight of stomach contents for an individual by gonadosomatic index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분류군별 혼식율은 홍어 숙도지수의 증가에 따라 어류의 경우 증감의 변동을 보이는 가운데 증가하며, 반면 새우류의 경우는 감소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두족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숙도지수 13이상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체적으로 차지하는 비율도 낮게 나타났다(Fig. 10).

Fig. 10. Percentage composition of food items in the stomach contents by gonadosomatic index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홍어의 숙도지수 증가에 따라 위 내용물의 종다양도지수 및 종풍도지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우점도지수는 증감의 변동을 보이는 가운데 일정수준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균등도지수는 증가경향에 있었으므로(Fig. 11), 홍어는 성의 발달이 진행되면서 다양한 먹이생물을 균등하게 섭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Fig. 11. Variation of species diversity, richness, eveness and dominance index of food items in the stomach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종별 상대중요성지수는 증감의 변동을 보이는 가운데 자주새우, 꽃새우, 까나리, 기타어류는 증가경향에 있었으나, 산모양깔깔새우, 돗대기새우는 감소경향에 있었으므로, 홍어는 성숙되면서 소형 새우류에서 대형 새우류 또는 어류로의 먹이전환현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Table 5).

Table 5. Index of importance of food organisms in the stomach by gonadosomatic index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고찰

1997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2개년간 황해에서 어획된 홍어의 위에서 관찰된 먹이생물의 종수는 어류 7과 12종, 새우류 6과 8종, 게 및 집게류 2과 2종, 두족류 2과 2종, 총 17과 24종으로, 황해에서 홍어와 유사한 해역에 분포하며 형태 또한 비슷하여 어민들간에 명칭상 혼동을 일으키는 눈가오리의 먹이생물 종수(어류 16과 23종, 갑각류 9과 12종, 연체류 6과 7종, 극피동물 1과 1종, 총 32과 43종 ; Yeon et al., 1999) 및 황・동중국해에 분포하는 황아귀의 먹이생물의 종수(어류 44종, 갑각류 12종, 두족류 3종, 총 59종 ; Cha et al., 1997)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먹이생물의 개체 수에 대한 분류군별 조성비율은 홍어의 경우 새우류 89.1%, 어류 10.0%, 두족류 0.6%, 게 및 집게류 0.3%이었으며, 눈가오리의 경우 새우류 72.9%, 어류 23.3%, 두족류 3.1%, 게 및 집게류 0.7%, 이매패류, 복족류, 불가사리류, 갯가재 등이 0.1%미만이었다(Yeon et al., 1999). 황아귀의 경우 어류 89.4%, 두족류 1.8%, 갑각류 8.8%이었으며(Cha et al., 1997), 남해 신수도 연안 쥐노래미의 경우 gammarids 45.3%, caprellids 34.7%, brachyurans 5.4%, copepods 4.0%이었고(Kim and Kang, 1997), 우리나라 전 연근해에 서식하는 말쥐치의 경우 Calanoida 36.4%, Cyclopoida 17.2%, Hydroida 7.6%, Ostracoda 6.3%, Pteropoda 5.8%, Invertebrate eggs 3.6%이었으므로(Park, 1985), 홍어의 먹이생물에 대한 선택적 섭식경향이 눈가오리 및 황아귀보다는 약하나 쥐노래미, 말쥐치보다는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먹이생물의 분류군별 조성비에서 눈가오리 및 황아귀의 것에 비해 어류 등 기타 먹이생물의 비율은 낮은 반면, 새우류 등 갑각류의 비율은 높게 나타나 홍어의 섭식생태적 지위가 눈가오리 및 황아귀보다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먹이생물의 출현율은 자주새우 48.4%, 산모양깔깔새우 22.5%, 꽃새우 15.7%, 까나리 12.0%, 돗대기새우 9.2%순이었으나, 종류별 개체수의 조성비는 자주새우 37.2%, 산모양깔깔새우 24.0%, 돗대기새우 18.3%, 꽃새우 7.4%, 까나리 4.5%순으로서 동일 먹이생물에 대한 이용율은 높으나 이용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눈가오리(Yeon et al., 1999), 말쥐치(Park, 1985), 쥐노래미(Kim and Kang, 1997)의 경우에도 나타났다. 여기서 고려되어야 할 점은 종류별 조성비가 개체 수에 의해 산출된 것으로서 큰 개체나 작은 개체의 체적과 중량이 고려되지 않았으므로 보다 더 정확한 결과의 도출을 위하여는 먹이생물의 종류별 건중량 또는 체적에 의한 분석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먹이생물의 출현율과 종류별 개체수 조성비간의 차이를 보완하고자 먹이생물의 출현율과 개체수 조성비의 조합에 의해 산출된 상대중요성지수에 의거 추정한 홍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자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돗대기새우이었으며, 눈가오리의 주요 먹이생물은 자주새우, 꽃새우, 까나리(Yeon et al., 1999)로서 이 두 종은 같은 새우류 식성에 속하나, 홍어의 먹이생물이 눈가오리의 것에 비해 개체 크기가 비교적 작은 종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생존전략상 동일해역내의 혼서 생물들 간에 먹이생물을 달리하므로서 섭식 생태적 지위를 달리하여 생존경쟁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된다(Hutchinson, 1971 ; Kim and Kang, 1997).

홍어의 섭식활동이 가을에서 봄 사이에 활발하며, 이 시기에 다양한 먹이생물을 비교적 균등하게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홍어가 눈가오리와 같이 황해 냉수역의 변동에 따라 분포역의 변화를 나타내는 어족자원(延 等, 1996)으로 하계에는 협소한 분포역에서의 밀집분포에 따른 먹이생물의 부족과 생물 자체의 활동성 미흡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 생각된다. 이와 같이 계절별 섭식활동의 차이는 타 어종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면, 말쥐치의 경우 춘계와 추계에는 섭식활동이 왕성하나 하계와 동계에는 낮다(Park, 1985).

계절에 따른 주요 먹이생물이 동계에는 자주새우, 까나리, 돗대기새우, 춘・하계에는 산모양깔깔새우, 자주새우, 돗대기새우, 추계에는 자주새우, 꽃새우를 주로 섭식하는 것으로 보아 홍어의 먹이생물 조성비는 홍어의 먹이생물에 대한 선택적 결과이기보다는 환경생물의 조성변화에 그 주된 원인이 있다고 생각된다(Hotta et al., 1969 ; Delbeek and Williams, 1988 ; Fujita et al., 1995). 이를 명확히 하려면 홍어 먹이생물의 선택도지수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홍어는 어린 시절에는 돗대기새우, 산모양깔깔새우 등 개체 크기가 작은 새우류에 국한 되었으나 성장함에 따라 자주새우, 꽃새우, 까나리 등 개체크기가 큰 새우류 및 어류로의 먹이전환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눈가오리(Yeon et al., 1999 ; 황아귀(Cha et al., 1997), 쥐노래미(Kim and Kang, 1997), 붕장어(Huh and Kwak, 1998)에서도 나타났다. 이는 Fig. 12에서와 같이 생물자체의 성장에 따른 입 등 섭식기구와 위, 창자 등 소화기관의 크기, 용량 등의 형태 및 기능의 발달에 따라(Cha et al., 1997 ; Myoung and Kim, 1986 ; Park, 1987), 점차 크기나 부피가 큰 먹이생물도 포획, 섭식, 소화 가능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Fig. 12. The relationship between mouth size and disc width of Okamejei kenojei in the Yellow Sea from 1997 to 1998.

홍어의 성장 및 계절에 따라 먹이전환현상이 나타나는 가운데서도 자주새우는 언제나 주요 먹이생물로 나타났다. 이는 자주새우가 홍어의 먹이 생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인 발견과 포획의 용이도, 먹이의 질과 량(Ivlev, 1961)이 타 먹이생물에 비해 높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요약

1997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2년간 황에서 쌍끌이 대형기선저인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홍어(Okamejei kenojei) 1,447마리의 식성을 분석하였다.

홍어의 총 섭식율은 75.7%이었으며, 먹이생물의 종류수는 어류 7과 12종, 새우류 6과 8종, 게 및 집게류 2과 2종, 두족류 2과 2종, 총 17과 24종으로 다양하였다. 개체 수에 의한 먹이생물의 분류군별 혼식율은 새우류 89.1%, 어류 10.0%, 두족류 0.6%, 게 및 집게류 0.3%이었고, 주요 먹이생물은 자주새우, 산모양깔깔새우, 돗대기새우, 꽃새우, 까나리순이었다.

홍어의 섭식활동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사이(10~이듬해 4월)에 활발하였고, 봄과 가을에는 다양한 먹이생물을 비교적 균등하게 섭식하였다. 계절에 따른 주요 먹이생물은 겨울에 자주새우, 까나리, 돗대기새우, 봄・여름에 산모양깔깔새우, 자주새우, 돗대기새우, 가을에 자주새우, 꽃새우로 분석되었다.

홍어는 성장하면서 절대적 섭식량은 증가하나 체중에 비례한 섭식량은 감소하였고, 체급에 따른 주요 먹이생물은 10㎝급의 경우 돗대기새우, 산모양깔깔새우, 20㎝급의 경우 돗대기새우, 자주새우 30㎝급의 경우 자주새우, 꽃새우, 까나리로 추정되었다. 홍어는 어린 시절에는 돗대기새우, 산모양깔깔새우 등 개체 크기가 작은 새우류에 국한 된 먹이생물을 주로 섭식하였으나, 성장하면서 자주새우, 꽃새우, 까나리 등 개체 크기가 큰 새우류 또는 어류로의 먹이전환현상을 나타내었다.

홍어의 섭식활동은 성숙에 따라 커다란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어류의 혼식율은 증가되었고, 새우류의 혼식율은 감소되었으며, 다양한 먹이생물을 비교적 균등하게 섭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요 먹이생물은 성이 발달되지 않았을 때에는 돗대기새우, 산모양깔깔새우 등 소형 개체의 새우류이었으나 성숙되면서 자주새우, 꽃새우, 까나리, 기타 어류 등 크기가 비교적 큰 새우류 또는 어류로의 먹이전환현상을 나타내었다.

참고문헌

Cha, B. Y., B. Q. Hong, H. S. Jo, H. S. Shon and Y. C. Park, 1997. Food habits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J. Korean Fish. Soc. 30, 95~104(in Korean).

Chyung, M. 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 Publishing Co., Seoul Korea, 727pp(in Korean).

Delbeek, J. C. and D. D. Williams, 1988. Feeding selectively of four species of sympatic stickleback in blackish water habitats in eastern Canada. J. Fish Biol. 32, 41~62.

Fujita, T., D. Kitagawa, Y. Okuyama, Y. Ishito, T. Inada and Y. Jin, 1995. Diets of demersal fishes on the shelf off Iwata, northern Japan, Mar. Biol. 123, 219~233.

Hotta, H., H. Mako, K. Okata and U. Yamada, 1969. On the stomach contents of dolphins and porpoises off Kyushu. Bull. Seikai Reg. Fish. Res. Lab, 37, 71~85(in Japanese).

Huh, S. H. and S. N. Kwak, 1998.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ean Fish. Soc. 31, 665~672.(in Korean).

Hutchinson, B. P., 1971. The effect of fish predation on the zooplankton of ten Adirondack Lak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alewife, Alosa pseudoharegus. Trans. Am. Fish. Soc. 100, 325~335.

Ivlev, V. S. 1961. Experimental Ecology of the Feeding of Fishes. (Transl. from Russian) Yale Univ. Press, New Haven, Connecticut, 302pp.

Jenkins, G. P., 1987. Comparative diets, prey selection, and predatory impact of co-occurring larvae of two flounder species. J. Exp. Mar. Biol. Ecol. 110, 147~170.

Kim, C. K. and Y. J. Kang, 1991. Mathematical approaches related to daily feeding activities of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J. Korean Fish. Soc. 24, 315~326 (in Korean)

Kim, C. K. and Y. J. Kang, 1997. Stomach contents analysis of fat greening, Hexagrammos otakii. J. Korean Fish, Soc. 30, 432~441(in Korean)

Kim, H. S., 1973.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14, (Anomura・Brachyura). Ministry of Education, 694pp. (in Korean).

Kim, H. S., 1977.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19, (Macrura). Ministry of Education, 414pp. (in Korean).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Miyake, S., 1982. Japanese Crustacean Decapods and Stomatopods in Color., I, (Macrura, Anomura and Stomatopoda), Hoikusha Publishing Co., Osaka, 261pp. (in Japanese).

Miyake, S., 1982. Japanese Crustacean Decapods and Stomatopods in Color., Ⅱ, (Brachyura, Crabs). Hoikusha Publishing Co., Osaka, 277pp. (in Japanese).

Myoung, J. G. and Y. U. Kim, 1986. Morphology of larvae and juveniles of Leiognathus nuchalis (Temminck et Schlegel). Bull. Nat'l. Fish. Univ. Pusna 24, 1~22(in Korean).

Paloheimo, J. E., 1979. Indices of food type preference by a predator, J. Fish. Res. Bd. Can. 36, 470~473.

Park, B. H., 1985.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the filefish Navodon modestus (Gunther) in the Korean Waters.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34, 1~64(in Korean).

Park, Y. S. 1987. Development of eggs and morphology of larvae and juveniles of flying  fish., Prognichthys agoo (Temminck et Schlegel). M. S. Thesis, Nat'l. Fish. Univ. Pusan, 58pp(in korean).

Pielou, E. C., 1976. Mathematical Ecology. 2nd ed. John Wiely & Sons, Inc., Nova Scotia, 385pp.

Shannon, C. E. and W. Weaver, 1963. Biological Oceanographic Processes., 3rd ed., Pergamon Press, 7~11.

Yeon, I. J., S. H. Hong, H. K. Cha and S. T. Kim 1999. Feeding habits of Raja pulchra in the Yellow Sea. Bull. Nat'l. Fish. Res. Dev. Inst. Korea 57, 1~11(in Korean).

延仁子・洪承賢・朴永喆・金成泰・車亭基, 1996. 홍어류 자원조사, Ⅰ. 눈가오리의 생물학적 조사. 1995년도 서수연 사업보고서, 85~112.

제종길・유재명・손민호, 1990. 한국산 두족류에 관한 연구(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해양연구소, 146pp

첨부파일
비밀번호 수정 및 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
관리자게시 게시안함 스팸신고 스팸해제 목록 삭제 수정 답변
댓글 수정

비밀번호 :

수정 취소

/ byte

비밀번호 : 확인 취소

댓글 입력

댓글달기이름 : 비밀번호 : 관리자답변보기

확인

/ byte

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대소문자구분)

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